티스토리 뷰

● EFS 는 컨테이너에서 많이 사용한다
○ EBS 볼륨은 일반적으로 1 : 1 마운트
[ EBS Volume : 인스턴스 ]
# 파일시스템 데이터가 들어가면 늘어나고 줄어들면 줄어드는 탄력적 구조
>> 스토리지 공간은 무제한으로 증가할 수 있으나, 비용이 계속 증가한다
# p 285 참조
>> AWS 리전 내에서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여 우수한 가용성과 내구성이 보장된다
>> 스토리지 클래스를 선택 가능
# 비용 절감 가능
# EFS Infrequent Access 나 One Zone 스토리지 유형을 선택하면 비용 절약 가능
# 다중 마운트 가능
○ EFS 는 버스트 처리량 모드를 사용하여 스토리지 사용량에 따라 처리량을 확장
또한 스토리지와 관계없이 처리량을 프로비저닝할 수 있다
serverless >> 완전 관리형 >> AWS 의 지향하는 것
>> 서버가 없다 >> 자동으로 관리가 되고 있다
AWS 컨테이너 서비스 ( Amazone ECS / EKS / Fargate )
ECS >> 도커와 비슷한 개념
EKS >> 쿠버네티스 ( Elastic 탄력적 )
Fargate >> 클러스트가 보이지가 않고 자동으로 관리해준다 >>> Serverless
# EFS 는 ECS / EKS 에서 많이 사용한다
# EFS 는 NFS 와 유사하다고 생각하자
EFS 를 마운트 할 수 있는 계열은 리눅스 계열이다 ( 윈도우에서는 불가능하다 )
>> FSx 는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다

○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들은 Archive 로 전환하여 비용절약
>> 아카이브에 저장된 것들을 처음 엑세스 할 때 ( IA ) Standard 로 전환하는 기능도 선택 가능하다

>> 성능 결정 ( 탄력적 >> 쓴 만큼 비용 지불 )

>> 네트워크 설정

● EC2 생성하는데, 네트워크는 디폴트로 동일하게 가야한다 ( EFS 와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 / 서브넷 포함 )

● 인스턴스와 연결


○ 마운트를 위한 util 이 필요하다
>> EFS 탑재 헬퍼를 그대로 사용한다 ( 디렉터리 필요 )
# nfs 는 nfs - util 을 사용
[ec2-user@ip-172-31-7-54 ~]$ sudo yum install -y amazon-efs-utils
▩ 보안그룹을 추가해줘야 한다

○ EFS 와 NFS 는 동일하기 때문에 EFS 가 목록에 없으면 NFS 로 선택하여 보안그룹에 추가하면 된다

● IP / DNS 통한 탑재

▩ EFS 파일시스템 생성시에 설정한 보안그룹도 인바운드에 NFS 설정을 넣어줘야 마운트가 제대로 된다...
# EFS 는 프라이빗 IP 에서 동작하므로 사설 IP 로 접근해야 한다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- ELB - [ Loadbalance ] / ASG / AMI (0) | 2024.03.20 |
---|---|
AWS - Lightsail / Route 53 (0) | 2024.03.19 |
AWS - DB (0) | 2024.03.15 |
AWS - IAM (0) | 2024.03.15 |
AWS - Private VPC (0) | 2024.03.15 |